본문 바로가기

Ai

(2)
Working with AI - 프론트 개발자의 AI 사용기 AI 회의론자가 AI를 열정적으로 쓰는 사용자가 된 이야기나는 AI에 회의론적인 입장을 취해왔었다. AI의 특유의 환각과 더불어서, 프롬프트를 짜는 것이 꽤 불편했었기 때문이다. "구글링이 더 편한데 왜?"라는 생각이었다. 기술 발전은 내 생각을 바뀌게 만들었다. 이제 나는 AI를 잘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AI로 인한 생산성 증대가 불편한 점을 뛰어 넘었다고 생각한다. 여전히 나는 AI 도구에 접근하지 않아도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생산성은 떨어진다. cursor를 쓰면서 이러한 생각은 더욱 강화되었다. 그래서 나는 강조한다. Working with AI. AI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사람의 감독은 필요하다. 그래도 관리할 필요 없는 수족을 둘 수 있는 건 매우 긍정적이..
신시장 분석 프로젝트 : 수경재배 왜 수경 재배인가? 수경재배는 농지를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숲을 파괴하지 않는다. 토양 오염 및 수질 오염 역시 줄어들게 된다. 또한 해충 피해가 없어 지속적으로 일정한 양의 농산물을 산출 할 수 있다. 또한 해충 유익을 원천 차단 가능하기 때문에 유기농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아주 유리하다. 층층이 쌓아 고도로 밀집화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이는 땅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기존의 농업은 도시 근처에서는 땅값 때문에 불가능했지만, 도시 근거리에서 대량으로 농업이 가능하다. 도시 근교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이동거리가 줄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신선하며,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국내에서도 부족한 농지 및 기상 피해를 줄이기 위해 수경 재배가 활성화 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