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신시장 분석 프로젝트 : 수경재배 왜 수경 재배인가? 수경재배는 농지를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숲을 파괴하지 않는다. 토양 오염 및 수질 오염 역시 줄어들게 된다. 또한 해충 피해가 없어 지속적으로 일정한 양의 농산물을 산출 할 수 있다. 또한 해충 유익을 원천 차단 가능하기 때문에 유기농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아주 유리하다. 층층이 쌓아 고도로 밀집화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이는 땅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기존의 농업은 도시 근처에서는 땅값 때문에 불가능했지만, 도시 근거리에서 대량으로 농업이 가능하다. 도시 근교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이동거리가 줄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신선하며,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국내에서도 부족한 농지 및 기상 피해를 줄이기 위해 수경 재배가 활성화 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이야기 나는 4차 산업 혁명이라는 용어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거의 상업적 수식어와 같은 것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4차 산업 혁명은 언젠간 올 것이라 생각한다. 계속 가속화된 기술 발전은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세상을 만들게 될 것이다. 어떤 방식으로 올진 모르겠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한계를 맞을 수도 있다. '강인공지능'이 출현할 수도 있다. 하지만, NBIC(나노, 바이오, 정보통신, 인지과학)이 원동력이 될 거라고 생각해본다. 역사만이 그 날이 언제인지 안다. 하지만, '4차 산업 혁명이 언제부터 시작할까?' 라는 고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 4차 산업 혁명의 시대를 사람들이, '이 기술/이 물건/이 기계'가 '4차 산업 혁명'의 시초였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지, '이..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