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HA는 미국 NSA(국가안보국)가 제작한 해시 암호알고리즘이다.
SHA-0 부터 최신버전인 SHA-3이 존재한다. 그러나 SHA-0과 SHA-1은 보안상 위험하기때문 보안이 중요한 곳에서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SHA는 눈덩이 사태를 일으키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값이 다르면 전혀 다른값이 튀어나오게된다.
알고리즘별 속도
"apple"의 해시값을 구해보면 아래와 같다.
SHA-1 : D0BE2DC421BE4FCD0172E5AFCEEA3970E2F3D940
SHA-256 : 3a7bd3e2360a3d29eea436fcfb7e44c735d117c42d1c1835420b6b9942dd4f1b
SHA-512 : 844D8779103B94C18F4AA4CC0C3B4474058580A991FBA85D3CA698A0BC9E52C5940FEB7A65A3A290E17E6B23EE943ECC4F73E7490327245B4FE5D5EFB590FEB2
- http://keccak.noekeon.org/ [본문으로]
반응형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의적버전에 대해 정리한 프레젠테이션을 배포합니다. (0) | 2018.09.03 |
---|---|
SHA란? (0) | 2017.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