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5) 썸네일형 리스트형 1월 3주차 KPT 회고 Keep 1. Module Federation 공부를 위한 깃허브 레포만이라도 생성 2. IntelliJ 가동시간 3시간 이상 👍👍 Problem 1. 8시 출근은 어렵다. 2. 무덤덤해야하고, 무덤덤 하지만 숫자로 보는 평가액 감소는 기분이 좋지 않다. 📉📉 Try 1. 좌절하지 않고 분할 매수 2. internal-server 지속적으로 개발하기 [CSS] img태그의 src를 css로 대체하는 방법 요약 CSS로는 HTML의 프로터피인 src 값을 바꿀 수 없다. 하지만 content 프로퍼티를 통해 가능하다. 들어가며 타 사이트의 아이콘을 바꾸고 싶어서 Stylus와 같은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 중이었다. 하지만 이 글에서 언급했듯이 after 및 before로 가려줄 수가 없었고, JS Extension을 쓰고 싶은 마음은 없었다. 하지만 곧 해결책을 찾을 수 있었다. img 태그의 src를 CSS로 대체하는 방법 위와 같이 "content:url(a.jpg)" 속성을 추가 해주면 된다. 다음 글도 읽어보세요 커밋을 잘게 쪼개자 - 커밋은 언제 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리팩토링] 코드 숨기기, 가독성 좋은 코드 짜기 API는 인터페이스다 - 프론트 개발과 API await의 함정, 숨은 병목을 .. [CSS] img태그에서 ::after 및 ::before 안되는 이유 요약 닫는 태그가 없는 경우에는 ::after와 ::before와 같은 가상요소(Pseudo-element)를 사용할 수 없다. 들어가며 Stylus extension으로 나만의 커스텀을 하다가 img를 replace하기 위해 :after를 사용하려고 했었다. Chrome 개발자도구에서는 분명 :after가 잘 나타나지만, 랜더링 되지는 않았다. img 태그는 ::after와 ::before를 쓸 수 없다 after와 before같은 가상요소(Pseudo element)는 기존의 컨텐츠의 앞뒤에 덧붙여서 추가한다. 그러나 img 태그는 컨텐츠를 담을 수 없기 때문에 추가 할 수가 없다. ::after와 ::before를 대신하는 방법 after와 before를 쓰는 목적은 무엇인지가 중요하다. 일반적인 .. 커밋을 잘게 쪼개자 - 커밋은 언제 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깃 커밋은 언제 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들어가면서 커밋의 단위는 개발자들마다 생각이 각기 다를 것이다. 누구는 크게, 누구는 작게 말이다. 이 글에서는 커밋을 어느 단위로 할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만 웹 프론트엔드 개발에 한정한다. 이는 웹 백엔드나 기타 다른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또 다른 원칙이 적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커밋의 기본 원칙 커밋의 기본 원칙은 '1 Action, 1 Commit'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추후에 혹시나 모를 revert 등을 통한 롤백을 쉽게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하나의 액션, 하나의 커밋 하나의 액션은 커밋 메시지 한 줄이다. 예를 들면 "카드 컴포넌트 내부에 말 줄임표 처리", "font-size를 16px에서 14px로 조정", "Item이란 용어를 Ca.. 환율API 제공 중단 안내 환율 API는 2022년 1월 20일 20시 부로 서비스 제공이 중단됩니다. 환율 API는 레거시 코드로 인한 유지보수의 어려움과 서버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서비스 제공이 중단됩니다. 다른 API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빠른 API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시행합니다. 1. 2022년 1월 17일부터 10%확률로 API응답이 현재 글 링크를 반환합니다. 2. 분당요청수가 현재 280건/분 수준에서 100건/분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2022년 1월 19일 밤부터 50% 확률로 현재 글 링크를 반환합니다. 3. 2022년 1월 20일 20시 이후에는 서버를 중지합니다. 중단 사유 현재 서버 코드는 레거시 코드이며 토이프로젝트 수준의 서버입니다. 지속적으로 유지보수를 할 여력이 되지 .. 오픈소스의 지속 가능성 - 아슬아슬한 줄타기 faker.js와 color.js가 손상을 입었다고 한다. 레포를 모두 지우거나 무한루프 코드를 삽입하였다. left-pad 사건이 떠올랐다. 가장 크게 느끼는 점은 오픈소스가 아슬아슬한 줄타기인 상태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자칫하면 떨어질 수 있는 그런 상태이다. 파이썬과 관련된 Benjamin Pope의 트윗을 보면 numpy의 메인테이너는 6명이었다. 거대한 역피라미드다. 개인적으로 오픈소스는 프로그래밍계의 SOC같은 존재라고 생각한다. 오픈소스의 카피레프트를 통해 인류는 엄청나게 진보해왔다. 하지만 오픈소스에 대한 비용 지불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항상 오픈소스를 사용할 때 비용을 지불해야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거대한 인터넷 생태계를 지속가능하게 유지하려면 결국 누군가는 비용을 지불해야할 수도 있다.. 2022년 1월 2주차 KPT 회고 Keep 1. 데일리 미팅 문서 미리 작성하기 Problem 1. 웹팩 공부 안 했다. Try 1. 스터디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정리하기 2. 1월 안에 웹팩 공부 시작하기 3. 말 할 내용을 한번 요약 할 수 있게하는 프로그램 제작 내가 지수 추종을 선택한 이유 "low cost high profit" 최저의 비용으로 최고의 효과를 내는 것은 누구나 얻고자 하고 추구하는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지수 추종은 적은 비용으로 비교적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Top 1%에 들지 않을 뿐이지 상위 20%안에 드는 투자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SPIVA 통계에 따르면, 2021년 6월 30일 기준으로 10년간 단 17.49%의 대형 펀드들만이 S&P500 지수를 outperform 했다. 그리고 나에게는 없는 것이 있다. S&P500 지수를 outperform할 펀드를 찾을 능력이 없다. 지수추종은 저비용이다. ETF나 펀드의 수수료도 매우 낮을 뿐더러 고민할 필요가 없다. 개별 주식을 하게 되면, PER등으로 주식 스크리닝을 하거나, 한 회사를 자세히 분석하거나 해.. 이전 1 2 3 4 5 6 7 8 ··· 22 다음